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input range
- vue scss
- vscode 재설치
- for of 문 예시
- javascript cookie 설정
- setter 함수 동기적 실행
- vscode 초기화
- 접근자 함수
- input range 컬러변경
- input type="range"
- array method 요약
- react input autofocus
- forEach map 차이
- react 검색 기능 구현
- for in 문 예시
- Object for in
- vue sass 사용하기
- 객체 반복문
- pip 명령 에러
- 로지텍 MX Vertical 마우스
- for in for of 차이점
- vue scss 전역 설정
- 로지텍 버티컬 마우스 사용 후기
- 로컬스토리지 객체 저장
- next.config.mjs
- 검색창 autofocus
- javascript cookie 얻기
- javascript cookie 삭제
- 접근자 프로퍼티
- 로컬스토리지 쓰기 읽기 삭제
- Today
- Total
목록Web Development (48)
짬짬이기록하기
[속성 ~= us] 값을 포함하는 단어(단어별) class="us", class="korea us" [속성|=us] 값으로 시작하는 단어(단어별, 하이픈포함) class="us", class="us-open" [속성^=us] 값으로 시작하는 단어 class="usarmy", class="us-open" [속성$=pdf] 값으로 끝나는 단어 a[href=pdf] ==> a href="guide.pdf" [속성*=us] 값을 포함하는 단어 (위치와 상관없이) class="openus", class="openusopen" h1 + p : h1 다음에 오는 형제 중 첫번째 p h1 ~ p : h1의 형제인 모든 p
See the Pen CSS scroll by delikeyki95 (@delikeyki95) on CodePen. 1. scroll-snap-type scroll-snap-type: scroll snap axis(스냅 포지션 지정 축) scroll snap strictness(스냅 방식) => ex) scroll-snap-type: y proximity; 1.1 scroll snap axis x: 수평(가로) 축으로 snap position 지정 y: 수직(세로) 축으로 snap position 지정 block inline both 1.2 scroll snap strictness none: 스냅하지 않음. proximity: snap position을 지정하였다면 해당 설정에 맞춰 스냅하고, 미지정 상..
const person = { //데이터 프로퍼티 firstName: 'Ungmo', lastName: 'Lee', // fullName은 접근자함수로 구성된 접근자 프로퍼티. // getter함수 get fullName(){ return `${this.firstName} ${this.lastName}`; }, // setter함수 set fullName(name){ [this.firstName, this.lastName] = name.split(' '); } } //데이터 프로퍼티를 통한 프로퍼티 값의 참조 console.log(person.firstName + ' ' + person.lastName) //Ungmo Lee //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한 프로퍼티 값의 저장 //접근자 프로퍼티 fullNam..
See the Pen input type="range" color change by delikeyki95 (@delikeyki95) on CodePen.
1번 방식 : 함수 내에서 this 사용하여 클릭한 요소에 접근 let small = document.querySelectorAll("#imglist > li > .small"); for(let i=0; i 이 말이 우선 와닿지가 않아서 다시 정리하도록 하자!
- blockquote : 인용문 - abbr : abbreviation(약어) ex) WAS - cite : 창작물의 제목 - code : html내 code를 출력 - sub : 아랫첨자 - sup : 윗첨자 - s, del : line-through 효과인데, 한번도 쓴 적은 없음 - u, ins : underline 효과 다시 볼까 싶긴하지만 정리한 김에 포스팅 ^^
- concat : 서로 다른 배열을 연결하여 새로운 배열 만듦 - join : 배열안의 요소를 합쳐 string을 만듦, 구분자를 지정하지않으면 기본으로 , 로 구분 요소추가 - push : 배열의 맨 끝으로 추가 - unshift : 배열의 맨 앞으로 추가 요소꺼내기 - pop : 배열의 맨 끝요소를 꺼냄 - shift : 배열의 맨 앞요소를 꺼냄 요소추가 삭제 - splice(2) : index 2번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잘라냄 - splice(1,2) : index 1번부터 2개를 잘라냄 - splice(1,2,"js") : index 1번부터 2개를 잘라내고 잘라낸 자리에 "js"를 추가함 기존배열은 바꾸지 않으면서 요소를 꺼냄 - slice(1) : index 1번부터 마지막까지 꺼냄 - sli..
1. Sass 설치 npm i node-sass npm i sass-loader 2. Sass 사용 3. 전역사용 : 모든 vue파일에 일일이 import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서 전역으로 설정하는 방법. 프로젝트 최상단에 vue.config.js 파일을 생성해주면, (vue3에서는 CLI 생성 시 자동으로 만들어진다고 하던데, 내 경우는 없어서 생성했다) .vue파일 내 내에서 변수사용이 가능하다. module.exports = { css: { loaderOptions: { scss: { // 전역설정할 scss파일을 선언해준다. additionalData: ` @import "@/assets/_variable.scss"; `, }, }, }, };